- 칼빈 연구에 필요한 주요 도서에 대한 해설
- 본서가 사용한 주요 자료들
머리말
- 신앙고백 교육자로서의 칼빈
- 교회와 신앙고백과의 불가분리성
- 개혁파 교회권 신앙고백의 원천으로서의 기독교 강요
- 칼빈의 저술 활동과 교육적 동기
- 칼빈 신학에 대한 후기 대혁파 신학권에 오해
- 마치는 말
서론_존칼빈의 교회 개혁
- 부록1_칼빈의 설교 목록
- 부록2_좀 더 발전적인 연구를 위한 주제들
부록
- 칼빈의 출생과 성장_1509년
- 고향 노용
- 칼빈의 부친
- 교회 봉급
- 교회의 혼돈 상태
- 라 마르슈 대학_1523년
- 스트라스부르크의 삼인 설교자
- 라 마르슈 대학
- 몽떼규 대학_1524년
- 몽떼규 대학
- 칼빈의 학창 시절
- 오를레앙 대학_1528년
- 부르제 대학_1529년
-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_1530년
- 포르테 대학_1531년
- 세네카의 '관용론에 관한 주석' 저술_1532년
- 만성절 사건_1533년
- 칼빈의 피난과 회심_1534년
- 은둔과 기독교강요 집필_1535년
- 기독교강요 출판과 제네바 교회의 목회 시작_1536년(1)
- 기독교강요 헌사 분석_1536년(2)
- 이 책을 쓴 배경: 두 가지 목적과 왕의 관심 촉구
- 박해 받는 복음주의자들을 위한 탄원
- 대적자들의 일곱 가지 비난들
- 교부들이 개혁 가르침을 반대한다는 네 번째 부당한 주장에 대한 반박
- 관습을 대적한다는 다섯 번째 비난에 대한 답변
- 분리주의라는 여섯 번째 비난에 대한 답변
- 폭동을 일으킨다는 일곱 번째 비난에 대한 답변
- 왕은 중상 모략에 조심하시기 바라고, 우리의 결백을 변호함
제1부_기독교강요의탄생까지(1509-1536년)
- 제네바에서의 사역_1537년
- 제네바에서 추방되기까지의 사역_1538년
- 기독교 강요 증보판_1539년
- 최초의 주석 로마서_1540년
- 기독교강요 프랑스어판 출판과 제네바 귀환_1541년
- 교리 문답 작성_1542년
- 기독교강연 3판 발행_1543년
- 재세례파와 니고데모파에 대한 반박_1544년
- 기독교강요 라틴어 수정판과 프랑스어판 출판_1545년
- 고린도전후서 주석 발간_1546년
- 반대 세력의 부활_1547년
- 일련의 주석들 발간_1548년
- 취리히 일치신조_1549년
- 기독교강요 4판 출판_1550년
제2부_기독교강요 증보기(1537-1550)
- 제롬 볼섹과의 예정론 논쟁_1551년
- '하나님의 영원한 예정에 관하여' 출판_1552년
- 세르베투스 사건_1553년
- 사도행전 주석_1554년
- 공관복음 주석_1555년
- 목회서신 주석_1556년
- 시편 주석_1557년
- 건강 악화_1558년
- 기독교강요 최종판 발행_1559년(1)
- 기독교강요 최종판 개요_1559년(2)
- 제1권:창조주 하나님에 관한 지식
- 제2권:처음에는 율법 아래서 조상들에게 알려지시고, 다음으로 복음 안에서 우리에게 계시하신, 그리스도 안에서의 구속자 하나님에 대한 지식
- 제3권:그리스도의 은혜를 받는 방법:우리에게 어떤 유익이 오며, 어떤 효력이 뒤따르는가?
- 제4권:하나님께서 우리를 그리스도의 공동체로 초청하시며 거기에 머물게 하시는 외적인 수단과 목적
- 기독교강요 최종판의 프랑스어역 출판_1560년
- 다니엘서 주석_1561년
- 제네바 시편송 완성_1562년
- 창세기 주석_1563년
- 칼빈의 운명_1564년
- 칼빈 사후_교회 개혁에 끼친 칼빈의 영향력
- 네덜란드
- 독일
- 발도파
- 스코틀랜드
- 영국
- 프랑스